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돼지도체등급과정

•─ 정육상식/…▷정육이야기 。

by 원보스 2013. 12. 23. 09:27

본문

홈 > 등급기준 > 돼지도체
인사말
 

  • 냉도체 또는 온도체 등급판정
  • 돼지도체의 규격등급 : 인력등급판정 또는 기계등급판정
  • 돼지도체의 육질등급 : 냉도체육질등급판정 또는 온도체육질등급판정

  • 도체의중량

    도축장경영자가 측정하여 제출한 도체 한 마리 분의 중량

  • 인력등급판정방법에 따른 등지방두께

    등지방두께의 측정위치는 왼쪽 반도체의 마지막 흉추와 제1요추 사이의 등지방두께와 제11번 흉추와 제12번 흉추 사이의 등지방두께를 ㎜단위로 측정한 평균값을 정수로 적용

  • 기계등급판정방법 따른 등지방두께

    등급판정보조장비인 초음파기계를 사용하여 왼쪽 반도체의 제12번 흉추와 제13번 흉추 사이의 2분할단면에서 복부방향으로 6cm지점 들어간 도체표면에 기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등지방두께와 등심직경의 최단거리를 mm단위로 측정

구분 인 력 판 정
기 계 판 정
박 피 도 체
탕 박 도 체 탕 박 도 체
도체중(㎏) 등지방
두께(㎜)
도체중(㎏) 등지방
두께(㎜)
도체중(㎏) 등지방
두께(㎜)
수율(%)
A등급 74이상 ~
86미만
12이상 ~
22미만
83이상 ~
96미만
17이상 ~
27미만
83이상 ~
96미만
14.0이상 56.0이상
B등급 71 ~ 74 10 ~ 25 80 ~ 83 15 ~ 30 80 ~ 100 12.0 54.0
74 ~ 86 10 ~ 12 83 ~ 96 15 ~ 17
74 ~ 86 22 ~ 25 83 ~ 96 27 ~ 30
86 ~ 90 10 ~ 25 96 ~ 100 15 ~ 30
C등급 A, B등급에
속하지 않는 것
좌 동 좌 동


판정항목 A등급 B등급 C등급
비육상태 도체의 살붙임이 두껍고 좋으며 길이와 폭의 균형이 고루 충실하고 등지방 및 복부지방의 부착이 양호한 것 도체의 살붙임과 길이와 폭의 균형이 적당하고 등지방 및 복부지방의 부착이 적당한 것 도체의 살붙임이 부족 하거나 길이와 폭의 균형이 맞지 않거나 등지방 및 복부지방의 부착이 적절하지 못한 것
삼겹살 상태 삼겹살두께와 복부지방의 부착이 매우 좋은 것으로 냉도체의 경우 삼겹살내 근간지방의 두께가 5mm이상 이면서 13mm미만인 것 삼겹살두께와 복부지방의 부착이 적당한 것으로 냉도체의 경우 삼겹살내 근간지방의 두께가 4mm이상 이면서 5mm미만이고, 13mm이상 이면서 16mm미만인 것 삼겹살두께와 복부지방의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냉도체의 경우 삼겹살내 근간지방의 두께가 4mm미만이거나 16mm이상인 것


<흉추 4 ~ 5번 또는 5 ~ 6번 사이 절개 면의 넓은등근 1/2지점과 몸통피부근 사이의 근간지방 두께>



항 목 등급하향 등외등급
방혈불량 돼지 도체 2분할 절단면에서 보이는 방혈작업부위가 방혈불량이거나 반막모양근, 중간둔부근, 목심주위근육 등에 방혈불량이 있어 안쪽까지 방혈 불량이 확인된 경우 각 항목에서 ‘등급하향’ 정도가 매우 심하여 등외등급에 해당될 경우
이분할불량 돼지도체 2분할 작업이 불량하여 등심부위가 손상되어 손실이 많은 경우
골 절 돼지도체 2분할 절단면에 뼈의 골절로 피멍이 근육 속에 침투되어 손실이 확인되는 경우
척추이상 척추이상으로 심하게 휘어져 있거나 경합되어 등심 일부가 손실이 있는 경우
농 양 도체 내외부에 발생한 농양의 크기가 크거나 다발성이어서 고기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이 있는 경우 및 근육내 염증이 심한 경우
근출혈 고기의 근육 내에 혈반이 많이 발생되어 고기의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
호흡기불량 호흡기질환 등으로 갈비내벽에 제거되지 않은 내장과 혈흔이 많은 경우
피부불량 화상, 피부질환 및 타박상 등으로 겉지방과 고기의 손실이 큰 경우
기 타 기타 결함 등으로 육질과 육량에 좋지 않은 영향이 있어 손실이 예상되는 경우


항 목 판정기준
근내지방도 냉도체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보이는 배최장근단면에 나타난 지방분포 정도를 부도9와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
육색 냉도체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보이는 배최장근단면에 나타난 육색을 부도10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하고 별표10에 따라 육색번호를 가, 나, 다로 구분
육조직감 냉도체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보이는 배최장근, 등세모근, 넓은 등근 등에 대하여 별표10에 따라 탄력도, 수분삼출도 및 근육분리도를 가, 나, 다로 구분하여 판정
지방색 냉도체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보이는 근간지방과 등지방의 색을 부도11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하고 별표11에 따라 지방색번호를 가, 나, 다로 구분
지방조직감 냉도체 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보이는 근간지방과 등지방에 대하여 별표11에 따라 탄력도와 지방층분리도를 가, 나, 다로 구분하여 판정


항 목 판정기준
근내지방도 온도체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중간둔부근과 목심주위근육에 나타난 지방분포 정도를 부도9와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
육색 온도체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반막모양근, 중간둔부근 등에 나타난 육색을 부도10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하고 별표10에 따라 가, 나, 다로 구분
육조직감 온도체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보이는 근육들과 엉덩이와 앞다리 등에 대하여 별표10에 따라 탄력도를 가, 나, 다로 구분하여 판정
지방색 온도체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보이는 등지방의 색을 부도11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하고 별표11에 따라 가, 나, 다로 구분
지방조직감 온도체육질등급판정부위에서 보이는 등지방에 대한 탄력도와 지방층분리도를 별표11에 따라 가, 나, 다로 구분하여 판정






육색 육조직감
탄력도 수분삼출도 근육분리도
No.3, No.4 좋음 정상
(45%미만)
정상
No.5 보통 조금 많음
(45%이상, 76%미만)
약함
No.1, No.2,
No.6, No.7
나쁨 많음
(76%이상)
심함


지방색 지방조직감
탄력도 지방층분리도
No.1, No.2, No.3 좋음 정상
No.4, No.5 보통 약함
No.6, No.7 나쁨 심함


예비육질등급 적용범위
최종규격등급 근내지방도
1+등급 A No.4, No.5
1등급 A No.2, No.3
B No.2, No.3, No.4, No.5
2등급 A, B No.1
C No.1, No.2, No.3, No.4, No.5


  • 1. 부도13의 돼지도체 근육특성에 따른 성징 구분방법에 따라 성징2형으로 분류되는 도체
  • 2. 규격등급의 결함이 매우 심하여 별표9에 따라 등외등급으로 판정된 도체
  • 3. 도체중량이 박피의 경우 60kg미만(탕박의 경우 65kg미만)으로서 왜소한 도체
  • 4. 새끼를 분만한 어미돼지(경산모돈)의 도체
  • 5. 육색과 육조직감 및 지방색과 지방조직감이 좋지 않아 별표13에 따라 등외등급으로 판정된 경우이거나 지방색이 기준 No.7보다 지나치게 노랗거나 연지방인 도체
  • 6. 비육상태와 삼겹살 상태가 매우 불량하고 빈약한 도체
  • 7. 고유의 목적을 위해 이분할 하지 않은 학술연구용, 바비큐 또는 제수용 등의 도체
  • 8. 검사관이 자가소비용으로 인정한 도체
  • 9. 좋지 못한 돼지먹이 급여 등으로 육색이 심하게 붉거나 이상한 냄새가 나는 도체


구분 육 질 등 급
1+등급 1등급 2등급 등외
규 격
등 급
A등급 1+A 1A 2A
B등급 1B 2B
C등급 2C
등외 등외
 

'•─ 정육상식 > …▷정육이야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고기를 먹으면 힘이 생긴다!  (0) 2014.04.28
돼지열병  (0) 2014.04.28
소도체 등급과정  (0) 2013.12.23
도축과정  (0) 2013.12.23
전국도축장  (0) 2013.12.23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