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분 |
육 질 등 급 |
1++등급 |
1+등급 |
1등급 |
2등급 |
3등급 |
등외(D) |
육랑 등급 |
A등급 |
1++A |
1+A |
1A |
2A |
3A |
|
B등급 |
1++B |
1+B |
1B |
2B |
3B |
C등급 |
1++C |
1+C |
1C |
2C |
3C |
등외(D) |
| |
 |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의 중량을 측정하여 산정된 육량지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A, B, C의 3개등급으로 구분합니다. |
육량등급 |
육량지수 |
A |
67.50 이상 |
B |
62.70 이상∼67.50 미만 |
C |
62.70 미만 | |
|
육량지수 산정 (소숫점 셋째자리 이하 절사) 육량지수 = 68.184 - [0.625 × 등지방두께(㎜)] + [0.130 × 배최장근단면적(㎠)] - [0.024 × 도체중량(㎏)] [단, 한우의 도체는 3.23을 가산하여 육량기준 지수로 한다]
등급판정부위 소를 도축한 후 2등분할된 왼쪽 반도체의 마지막등뼈(흉추)와 제1허리뼈(요추) 사이를 절개한 후 배최장근의 등심쪽 절개면
등지방두께 등급판정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의 오른쪽면을 따라 복부쪽으로 3분의 2 들어간 지점의 등지방을 mm단위로 측정 (등지방두께가 1mm 이하인 경우에는 1mm로 판정)
배최장근단면적 등급판정부위에서 가로, 세로가 1㎝단위로 표시된 면적자를 이용하여 배최장근의 단면적을 ㎠단위로 측정 (배최장근 주위의 배다열근, 두반극근, 배반극근 제외)
도체중량 도축장경영자가 측정하여 제출한 도체 한 마리 분의 중량 ※ 도체의 비육상태가 매우 나쁜 경우, 산출된 등급에서 1개 등급을 낮추고 도체의 비육상태가 매우 좋은 경우, 산출된 등급에서 1개 등급을 높입니다. |
 |
근내지방도(Marbling),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에 따라 1++, 1+, 1, 2, 3의 5개등급으로 구분합니다.
근내지방도 기준 : 배최장근단면에 나타난 지방분포정도
육색 : 배최장근단면의 고기색깔* 정상 : No2 ~ No6
지방색 : 배최장근단면의 근내지방, 주위의 근간지방과 등지방의 색깔 * 정상 : No1 ~ No6
조직감 : 등급판정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의 보수력과 탄력성
성숙도 : 왼쪽 반도체 척추 가시돌기에서 연골의 골화정도 |
 |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육량등급과 육질등급에 관계없이 등외로 판정합니다.
- 1. 성숙도 구분기준 번호 8,9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비육상태가 매우 불량한 노폐우 도체이거나, 성숙도 구분기준 번호 8,9에 해당되지 않으나 비육상태가 불량하여 육질이 극히 떨어진다고 인정되는 도체
- 2. 방혈이 불량하거나 외부가 오염되어 육질이 극히 떨어진다고 인정되는 도체
- 3. 부분폐기 정도가 심하다고 인정되는 도체
- 4. 도체중량이 150kg미만인 왜소한 도체로서 비육상태가 불량한 경우
- 5. 수해, 화재, 정전 등으로 냉도체 등급판정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고 시·도지사가 인정하는 사고 당일 도축된 도체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