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돼지의 전도체(Pork Carcass) | |||||
돼지도체(지육)의 생산은 탕박도체와 박피도체의 두 가지 형태로 생산한다. 탕박도체는 탕침조에서 온수에 침지 탈모시켜 생산하고 박피도체는 박피기에 의해 5~7㎜ 두께로 가죽을 벗겨 생산한다. 박피할 때 등급판정의 정확도를 위하여 제 11~13흉추골(등뼈) 주위의 피하지방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볼살의 일부를 머리에 남기고 후두골 하단과 환추골 사이 관절에서 두부를 절단하며 신장 및 신지방은 도체에 남기고 음경 및 정낭은 내장과 같이 분리제거한다. 앞다리는 전완골과 앞발목뼈 사이관절을 절개하여 절단하고, 뒷다리는 하퇴골과 뒷발목뼈 사이 관절을 절개하여 절단한다. 장족생산을 위해서는 다리(족발)는 도체에서 절단하지 않는다. 꼬리는 미근부 제 3에서 4미추골(꼬리뼈) 사이 관절부를 절개한다. | |||||
2. 돼지의 반도체(2분도체, Pork Slide) | |||||
돼지도체(지육)를 도체 배할톱으로 미추골(꼬리뼈), 천추골, 요추골(허리뼈), 흉추골(등뼈) 경추골(목뼈), 중앙을 따라 2분할하여 반도체(2분도체)로 나누어 좌, 우 반도체(2분도체)를 생산한다. | |||||
3. 돼지도체의 전구와 중구의 분할 | |||||
돼지 2분도체에서 전구와 중구의 분할은 제5~6늑골(갈비뼈) 사이를 그림 1와 같이 절개한 후 계속해서 등심부위와 목심부위 근육접합부위를 그림 2와 같이 절개하고 흉추골(등뼈)을 톱으로 절단하면 전구가 반도체에서 분할된다(그림 3). | |||||
![]() 그림 1. 갈비와 삼겹살부위 절개 | |||||
![]() ![]() 그림 2. 등심과 어깨등심부위 절개 그림 3. 절개완료된 전구의 모습 | |||||
4. 돼지고기 갈비부위(Pork Ribs) | |||||
갈비부위는 제 5~6늑골(갈비뼈) 사이를 배선(등선)과 복부절개선에 수직되게 삼겹살부위와 분리한 후 그림 1, 제 1~5흉추(등뼈)와 늑골접합부위를 그림 4와 같이 톱으로 절개하고 갈비부위와 앞다리부위 접합부위 즉, 겨드랑이에서 근막을 따라 절개하여 들어가면 그림 5 갈비부위가 전구에서 분할된다. | |||||
![]() ![]() 그림 4. 등심과 어깨등심부위 절개 그림 5. 절개완료된 전구의 모습 | |||||
5. 돼지고기 목심(Pork Boston Butt)과 앞다리(Pork Shoulder) 부위의 발골 및 분할 | |||||
갈비부위를 분할해낸 전구에서 견갑골 안쪽 근막을 따라 절개하여 목심과 앞다리 부위를 분할한다(그림 6). | |||||
![]() 그림 6. 목심과 앞다리부위 분할 | |||||
![]() ![]() 그림 7. 경추골과 흉추골의 발골 그림 8. 상완골과 전완골의 발골 | |||||
분할된 목심부위에서 그림 7과 같이 경추(목뼈)와 흉추(제1~5등뼈)를 발골한다. 앞다리부위의 골발은 앞다리뼈인 상완골과 전완골(요골과 척골)을 발골하고 그림 8), 견갑골(주걱뼈)을 발골해 낸다(그림 9). | |||||
![]() 그림 9. 견갑골(주걱뼈)의 발골 | |||||
6. 돼지고기 안심(Pork Tenderloin)부위 분할 | |||||
안심부위는 요추골(허리뼈)의 안쪽 복강쪽의 신지방에 둘러쌓여 있는데 그림 10에서와 같이 신지방을 분리제거한다. 신지방이 제거되면 밖으로 노출된 안심부위를 분할하게 된다. | |||||
![]() 그림 10. 신지방의 분리 | |||||
안심부위 분할은 대퇴골 근위단 즉 관골(골반골)전하방에서 시작되는 안심머리를 분리한 후 장골 및 요추골을 따라 뼈와 분리 절개하면 안심부위가 분할되어진다(그림 11). | |||||
![]() 그림 11. 안심부위의 분할 | |||||
7. 돼지도체 중구와 후구의 분할 | |||||
삼겹살 부위를 적개분할한다. 그림 13에서와 같이 요추골과 천골사이에서 2분체 분할 배선과 수직으로 절개하여 등심과 뒷다리부위를 분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구와 후구를 분할한다. | |||||
![]() ![]() 그림 12. 뒷다리돠 삼겹살부위 분할 그림 13. 등심과 뒷다리부위의 분할 | |||||
8. 돼지고기 등심(Pork Loin) | |||||
등심과 삼겹살부위의 골발은 돼질도체의 중구에서 먼저 횡경막(갈매기살)을 분리한다(그림 14). 다음으로 늑연골의 상면에 근육이 남지 않도록 절개하고, 늑골(갈비뼈)의 좌우에 칼집을 낸 후 차례로 발골한다(그림 15). | |||||
![]() 그림 14. 갈매기살의 분리 | |||||
요추골과 흉추골을 등심부위에 칼집이 나지 않도록 주의하여 발골한다(그림 15). 등심과 삼겹살 부위의 분리는 배최장근 복부방향선단에서 복부방향으로 3~5cm지점에서 2분체분할 배선과 평행으로 절개하여 분할한다(그림 16). | |||||
![]() ![]() 그림 15. 요추골과 흉추골의 발골 그림 16. 등심과 삼겹살부의 분할 | |||||
9. 돼지고기 뒷다리(Pork Fresh Ham) | |||||
뒷다리 부위는 돼지 도체(지육)의 중구와 후구분리시 분할된 후구가 뒷다리 부위이다. 뒷다리부위의 발골은 하퇴골 즉, 경골 및 비골의 결합조직(인대, 건)을 절단하고 사태살부위를 절개 발골(그림 17)한 후 천골과 미추골을 관골 즉 골반골과 함께 근육에 칼집이 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발골해낸다(그림 18). | |||||
![]() 그림 17. 하퇴골의 발골 | |||||
마지막으로 대퇴골을 볼기살과 보섭살사이 근막을 따라 절개하여 발골해낸다.(그림 19). | |||||
![]() ![]() 그림 18. 천골, 미추골과 관골의 발골 그림 19. 대퇴골의 발골 | |||||
좋은 고기를 골랐을 때 맛있게 먹는 요령 6가지 (0) | 2013.08.19 |
---|---|
(펌)발골의 유산 (0) | 2011.07.27 |
지육 기계톱으로 각치기 (0) | 2011.07.17 |
고속세절기 (0) | 2011.07.17 |
자동 골발기...? (0) | 2011.07.17 |
댓글 영역